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정의
요즘 뉴스나 광고에 많이 등장하는 사물인터넷 (IOT) 란 무엇일까요?
사물인터넷 의 정의 (Internet of Things, IOT)
1.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사물 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을 의미 ( KISA)
2. 지능화된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과 사물,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(한국전자통신연구원)
실생활을 예로들어 쉽게 설명하면, 외부에서 모든사물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
영국의 케빈 에쉬튼이 1999년도에 처음으로 사용한 단어로, 인터넷을 통해 사물과 사물이 연결됨을 뜻하였습니다.
가끔 약속시간에 맞춰 부랴부랴 집을 나선 후 버스안에서 집 문은 잘 잠궜는지, 가스밸브는 잠궜는지, 안방에 불은 소등하였는지 궁금한적이 한번씩은 있을거에요
이때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을 통하면 외부에서도 쉽게 문과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구를 소등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죠.
현재 다양한 방법으로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 있더군요.
동물들의 건강검진이나, 실내조명, 자동차, 스마트워치 등등등
곧 생활전반에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을 쉽게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.
이러한 기조에 발 맞춰 12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 6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는
2017년까지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산업 확산을 위해 2천 500억원을 투입하는것을 확정했다고 합니다.
집중 분야는 헬스/의료 , 도시/안전, 자동차/교통, 에너지., 홈 이렇게 6가지 분야라고 합니다.
점점 발전하는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세상. 많은 기대가 됩니다.
다음에는 사물인터넷 (Internet of Things, IOT) 을 실생활에 활용하고 있는 사례나 제품을 알아보도록 할게요^^